음속 30배 이상 속도로 대기권 진입해 낙하산 펴고 태평양 착수 2024년 달 궤도 유인 비행 이어 이르면 2025년 달 착륙 목표

Korea 24 News—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우주선 ‘오리온’이 11일 달 궤도 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했다.
이로써 미국은 유인 달 탐사 ‘아폴로’ 계획 이후 반세기만의 인류 달 복귀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임무에서 첫 번째 단계를 완료했다.
NASA는 이날 오리온이 달 궤도 선회 비행을 마치고 태평양에 착수(着水)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16일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우주발사시스템(SLS) 로켓에 실려 발사된 이후 25일 만이다.
오리온의 이날 귀환은 아폴로 17호가 1972년 12월 11일 달 표면에 도착한 지 정확히 50년이 되는 날이다.
오리온은 음속의 30배 이상인 시속 2만5천 마일(약 4만㎞)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 낙하산을 펴고 해수면에 도달했다.
이 우주선은 실제 우주비행사를 본떠 인체와 비슷한 물질로 만들어진 마네킹을 태우고 비행했고, 장비 안전성 등을 점검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오리온은 궤도 비행 중 달 표면 80마일(약 130㎞) 상공까지 근접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비행사 탑승이 가능한 우주선으로서는 현재까지 지구에서 가장 원거리 비행인 26만8천 마일(43만2천㎞) 지점 도달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NASA는 아르테미스Ⅰ 성과를 토대로 2024년에는 달 궤도 유인 비행(아르테미스Ⅱ)에 나선다.
이어 이르면 2025년 인류 최초의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를 달 남극에 착륙시키는 아르테미스 Ⅲ 임무에 착수한다.
NASA는 이를 통해 우주비행사가 상주할 수 있는 달 기지와 우주정거장을 건설해 달 자원을 활용하고 심(深)우주 탐사 기술을 개발, 궁극적으로 화성 유인 탐사에 활용한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yonhapnews
More Stories
SF 는 미주한인역사의 중심, 차세대를 위한 뿌리
민주, 26일 새 원내대표 선출…오늘부터 사흘간 후보 등록(종합)
MS, ‘AI 탑재’ 윈도 26일 출시…’365 오피스’ 11월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