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과 다른 청와대 해명” 시민들 정면 돌파
부끄러운 현 대한민국 정부에 대한 북가주 교민들의 따가운 시선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주 뉴욕 방문 도중에 불거진 ‘비속어 발언’ 논란에 공세 모드로 전환한 모양새다.
그간 직접 언급을 삼가는 듯했던 윤 대통령이 유감 표명을 일단 미뤄두고 ‘작심 발언’을 내놓은 것을 놓고, 야권에서 제기하는 각종 비판론에 대해 정면 돌파를 선택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윤 대통령은 5박 7일간의 영국·미국·캐나다 순방 후 첫 출근길인 26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처음으로 관련 입장을 밝혔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을 만난 직후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OOO 쪽 팔려서 어떡하나”라고 말하는 듯한 장면이 방송 카메라에 포착된 것과 관련, ‘OOO’이 당초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바이든’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바이든’이 아닌 ‘(예산을) 날리면’이라고 말한 것이며 발언 대상 역시 미 의회가 아닌 우리 국회(야당)를 뜻하는 것이라는 김은혜 홍보수석의 순방 기간 해명을 직접 재확인한 셈이다.
해당 발언을 미 의회 또는 바이든 대통령과 연결 짓는 것을 “동맹을 훼손해 국민을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고까지 규정했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진상 규명의 필요성까지 강조했다.
국민의힘 내에서 윤 대통령 발언 자체가 왜곡 보도됐다면서 MBC를 상대로 강경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쏟아지는 것과도 궤를 같이한다.
윤 대통령 귀국 직후 여권 내에서는 이번 논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기류가 감지됐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대통령 귀국 바로 다음 날(25일)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서 ‘가짜뉴스 근절’을 언급한 것이 이런 기류를 방증하는 예고편으로 읽혔다.
결국 야권이 ‘외교 참사’ ‘국격 훼손’이라며 공세 수위를 계속해서 끌어 올리자, 윤 대통령도 “동맹 훼손”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정면 대응을 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대응에는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자유·연대의 국정 기조를 국제사회에 알리고, 미·일 정상과의 만남을 통해 중요 현안을 해결했다고 자평하는 외교성과가 ‘비속어 논란’에 묻히고 있다는 우려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airan@yna.co.kr
More Stories
한미일 외교 “북러 군사협력 심각한 위협…국제사회와 공동대응”(종합2보)
尹 “샌프란, 美본토 한인史 출발점…동포들, 한미동맹 큰 역할”
미중회담 장소, 100여년된 역사적 사유지 ‘파일롤리 에스테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