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위 이통사 AT&T·버라이즌, 서비스 시작

Korea 24 News—더 빠른 5세대 이동통신(5G)이 19일 개통돼 서비스에 들어갔다.
미국의 1, 2위 이통사인 AT&T와 버라이즌은 이날 미 전역의 주요 도시에서 새로운 중대역 5G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경제매체 CNBC가 보도했다.
미국에선 당초 2019년 4월 5G가 상용화에 들어갔지만 이날 개통한 5G는 3.5㎓ 주파수 대역(3.7∼3.98㎓)을 이용하는 ‘C-밴드(대역)’ 5G로, 속도와 서비스 제공 범위(커버리지)가 균형을 이룬 ‘골디락스(Goldilocks·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상황) 주파수’로 불린다.
두 회사는 C-밴드 5G의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종전의 LTE(롱텀에볼루션)보다 10배 빨라 이용자들이 확연하게 빨라진 속도를 체감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버라이즌의 5G 서비스 이용자의 스마트폰 화면에는 ‘5Guw’가, AT&T 이용자 화면에는 ‘5G+’가 각각 뜨게 된다.
버라이즌과 AT&T는 지금까지는 주파수 1㎓ 미만의 저대역 5G와 밀리미터파로 불리는 주파수 30∼300㎓의 초고대역 5G를 제공해왔는데 이번에 중대역 서비스를 개통한 것이다.
저대역 5G는 주파수 특성상 먼 곳까지 도달이 가능해 도시나 교외 지역, 시골 등의 실내외에서 쓸 수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게 흠이다.
반면 밀리미터파는 초고속 통신이 가능해 ‘진짜 5G’로도 불리지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 대형 스타디움이나 주요 지하철 역사·번화가 등에 제한적으로 쓰이고 있다.
AT&T와 버라이즌은 정부가 벌인 주파수 경매에서 중대역 5G 주파수 확보에만 각각 230억달러(약 27조3천억원), 455억달러(약 54조원)를 지출했다. 여기에 송신탑에 장비를 설치하고 통신망을 구축하는 데에도 수십억달러를 추가로 썼다.
버라이즌은 이달 중 뉴욕과 로스앤젤레스(LA), 샌프란시스코 같은 주요 도시에서 9천만명이 새로운 5G 서비스를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AT&T도 올해 말까지 7천500만명이 C-밴드 5G를 쓸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카일 머레이디 버라이즌 최고기술책임자(CTO)는 “(C-밴드 5G는) 훌륭한 대역폭을 갖고 있고, 잘 퍼져나가며 건물도 뚫고 지나간다”고 말했다.
AT&T와 버라이즌은 당초 작년 12월 이 서비스를 개통하려 했으나 항공업계가 항공기의 무선 고도계 등 안전한 착륙을 위해 쓰이는 일부 기기에 쓰이는 무선 주파수가 이 5G 주파수와 인접해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 연기됐다.
두 이통사는 이 같은 우려에 따라 일부 공항 주변 기지국에서는 새로운 5G 서비스의 개통을 연기했다. yonhapnews
More Stories
MS도 신규 채용에 속도조절…긴축 나서는 美빅테크
엔비디아 CEO “차세대 먹거리는 자동차…6년뒤 13조원대 매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11서 외부 위젯 쓰는 기능 올해 중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