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 확률을 4%로 계산했다.
이코노미스트가 매일 갱신하는 미국 대통령 선거 예측에 따르면 대선을 이틀 앞둔 1일 현재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의 승리 확률은 96%인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4%에 불과했다.
이 같은 격차는 이코노미스트가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이다.
민주당 후보인 바이든 전 부통령은 전체 선거인단 538명 중 350명, 공화당 후보인 트럼프 대통령은 188명을 얻을 것으로 예측됐다.
이코노미스트는 여론조사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취지로 올해부터 자체 모델을 개발해 대선 결과를 예측하고 있다.
이 분석에는 여론조사뿐만 아니라 현직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와 미국의 경제상황 등의 요인이 함께 반영됐다.
!["바이든이 이긴다"[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분석 캡처, DB 및 재판매 금지]](https://i0.wp.com/img7.yna.co.kr/etc/inner/KR/2020/11/01/AKR20201101051800009_01_i_P4.jpg?w=640&ssl=1)
이코노미스트는 여론조사에는 표본 크기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설문방법에서 나타나는 편향성도 조정했다고 강조한다.
대선 승부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6대 경합주는 모두 바이든 전 부통령이 장악할 것으로 점쳐졌다.
북부 쇠락한 공업지대 ‘러스트 벨트’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의 승률은 위스콘신 97%, 미시간 98%, 펜실베이니아 93%로 나타났다.
남부의 핵심경합지대인 ‘선 벨트’도 마찬가지였으나 러스트 벨트보다는 상대적으로 바이든의 우세가 덜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의 승률은 플로리다 73%, 노스캐롤라이나 70%, 애리조나 74%로 계산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대선 때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상대로 이들 6개주에서 모두 승리한 바 있다.
한편 바이든 전 부통령이 선거인단 투표가 아닌 전체 투표수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이길 확률은 무려 99% 이상으로 산출됐다. (서울=연합뉴스) 장재은 기자

Korea 24 News
More Stories
대통령실 “후쿠시마산 수산물, 국내 들어올 일 결코 없을 것”
오픈AI, 美 규제당국의 조사받나…”GPT-4, 인공지능 기준 위반”
WSJ “SVB 사태 넘겼다고? 향후 ‘슬로모션’ 은행 위기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