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 ‘난가공 소재 공정’ 민간기업에 이전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원전 사고 발생 시에 대형 재난을 막기 위해 개발한 신기술이 다른 첨단부품 소재 생산에도 활용된다.
29일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김현길 박사팀의 난가공(難加工) 소재 3차원(3D) 프린팅 공정이 민간 기업에 이전됐다.
정액 기술료 약 1억 5천만원에 매출액 1.5%를 경상 기술료로 받는 조건이다.
해당 공정은 합금 소재 제조 분야에서 혁신 기술로 평가받는다.
까다로운 용해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서다.
김 박사팀은 제품 금속 표면에 추가하고 싶은 물질 입자를 입힌(도포) 뒤 3D 프린터 레이저 열원으로 금속을 녹이면서 입자를 혼합·냉각해 합금 소재를 만들었다.
기존에는 제조하기 어려웠던 금속도 자유롭게 혼합하고 적층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 박사팀은 원래 원전 사고 시 수소폭발을 방지하는 사고 저항성 핵연료 피복 관을 생산하기 위해 해당 기술을 구상했다.
이후 다른 산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해 확장성을 높였다.
김현길 박사는 “외국에서 완성한 기술을 답습하던 관행에서 탈피한 것”이라며 “소재·부품 산업에 대한 자립 요구가 높아지는 시점에서 기술이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More Stories
‘낙태권 폐기’ 美 대법원 초안 유출 뒤 낙태약 검색 사상 최대
美FDA, 제약사에 “BA4·BA5 대비 부스터샷 갱신” 권고
美해양대기국 “지난달 이산화탄소 농도 400만년 이래 최고치”